IT

초보자를 위한 NAS 설치 가이드 – 나만의 클라우드를 만드는 방법

hajun-pa 2025. 3. 29. 12:15
반응형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간단히 말해 집에서 운영하는 개인용 클라우드입니다. NAS를 이용하면 사진, 영상, 문서 등을 중앙에서 저장하고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으며, 백업과 미디어 스트리밍 기능까지 갖춘 만능 저장 솔루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AS를 처음 설치하는 분들을 위한 기본적인 설치 및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1. NAS란 무엇인가요?

NAS는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디바이스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장치입니다. 주로 파일 저장, 백업, 미디어 서버, CCTV 저장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2. NAS 구매 전 준비물

  • NAS 본체 – 시놀로지(Synology), 큐냅(QNAP) 등 인기 브랜드
  • 하드디스크(HDD) – NAS 전용 또는 일반 3.5인치 HDD
  • 유선 공유기 –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필수 장비
  • 인터넷 환경 – 원격 접속을 위한 공인 IP 혹은 DDNS

3. NAS 설치 단계

  1. 1) 하드디스크 장착
    NAS 본체를 열고, 구입한 하드를 슬롯에 고정합니다. 보통 2Bay 이상 제품이 많아 RAID 구성도 가능합니다.
  2. 2) 네트워크 연결
    NAS 본체를 공유기에 LAN 케이블로 연결하고 전원을 켭니다. 부팅이 완료되면 설치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됩니다.
  3. 3) 초기 설정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NAS 제조사의 초기 설치 도우미를 실행합니다 (예: Synology Assistant). 운영체제(OS)를 설치하고 관리자 계정을 설정합니다.
  4. 4) 스토리지 볼륨 생성
    장착한 하드를 인식한 후 RAID 방식(RAID 1, JBOD 등)을 선택하고 저장소 볼륨을 생성합니다.

4. NAS 활용 방법

  • 파일 서버: 사무실처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해 문서, 사진 저장 가능
  • 멀티미디어 서버: TV, 스마트폰에서 NAS에 저장된 영상/음악을 스트리밍
  • 자동 백업: PC 또는 스마트폰의 사진·문서를 NAS로 자동 백업
  • 원격 접속: 외부에서도 NAS에 접속해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5. 유지 관리 팁

  • 정기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 및 하드디스크 상태 점검
  • 중요 데이터는 RAID 외에도 외장하드나 클라우드로 이중 백업
  • 방화벽, 관리자 비밀번호 설정 등 보안 강화 필요

결론

NAS는 단순한 저장장치를 넘어서 나만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설치 과정도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활용도는 매우 높습니다. 파일 관리를 스마트하게 하고 싶은 분이라면 NAS 도입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