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NAS 외부 접속 설정 방법 – 어디서든 내 파일 관리하기

hajun-pa 2025. 4. 18. 15:10
반응형

 

NAS 외부 접속 설정 방법 – 어디서든 내 파일 관리하기

왜 NAS 외부 접속이 필요할까요?

NAS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도 매우 편리하지만, 외부에서도 사진이나 문서를 열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외부 접속 설정을 해두면 집 밖에서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내 NAS에 접속할 수 있어 진짜 ‘나만의 클라우드’가 됩니다.

1. QuickConnect로 빠르게 설정하기 (Synology 기준)

  1. DSM에 로그인: NAS 웹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QuickConnect 선택: QuickConnect 활성화 체크.
  3. Synology 계정 로그인: 계정이 없다면 새로 생성 후 로그인합니다.
  4. QuickConnect ID 생성: 원하는 ID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5. 접속 테스트: quickconnect.to/ID 로 접속 가능 여부 확인.

장점: 포트포워딩 필요 없이 빠르게 설정 가능.
단점: 속도가 느릴 수 있고, 네트워크 제약이 있는 곳에서는 불안정할 수 있음.

 

2. DDNS 설정으로 내 도메인 주소 만들기

  1. 제어판 → 외부 액세스 → DDNS 탭 클릭: 새 DDNS 추가 버튼 클릭.
  2. 서비스 제공자 선택: Synology, No-IP 등 선택 가능.
  3. 도메인 이름 설정: 예: myhome.synology.me
  4. 포트포워딩 설정: 공유기 설정에서 5000, 5001 포트 열기 필요.
  5. 보안 접속(HTTPS) 설정: Let’s Encrypt로 무료 SSL 인증서 발급 가능.

장점: 빠르고 안정적인 접속 가능, 앱 연동도 쉬움.
단점: 공유기 설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3. 외부 접속 후 활용 예시

  • 스마트폰으로 여행 사진 바로 업로드
  • 외근 중에도 업무 파일 열기
  • 가족/친구에게 폴더 공유
  • NAS에서 영화 스트리밍하기

정리하며

NAS 외부 접속 설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만,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uickConnect는 빠르게, DDNS는 조금 더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선택해보세요. 이젠 언제 어디서든 내 데이터를 자유롭게 이용하세요!

반응형